목차
1. 전지박, 동박산업의 산업의 특성
2. 전지박, 동박산업의 성장성 및 향후전망
1. 산업의 특성
[전지박 사업부]
전지박은 2차 전지 (충전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의 음극을 구성하는 동박으로 음극 집전체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2차 전지의 4대 구성요소인 음극, 양극, 분리막 전해액 중 음극의 핵심 소재이며, 배터리 제조사의 고유기술인 셀을 구성하기 때문에 주요 배터리 제조사 및, 최근에는 전기차 기술 수직계열화를 이루고자 하는 완성차 업체에 직접 공급됩니다.
동박은 PCB (인쇄회로기판)에서 도체 역할을 합니다. 이를 절연체인 합성수지 표면에 입혀 동박적층판을 만들고, 이를 원재료로 인쇄회로를 설계하고 가공하는 PCB 및 반도체 기업에 공급됩니다. PCB는 가전제품부터 스마트폰, 첨단 컴퓨터, 통신기기, 군사기기, 우주항공산업 등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모든 전자제품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부품으로써 전자제품의 기술 및 생산활동을 좌우할 수 있는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지박/동박 제조는 대규모 설비가 필요한 장치 산업인 동시에 화학물(전해액, 첨가제 등) 관리(전해액 농도 유지, 이물질 관리) 및 일정한 두께의 얇은 구리박 생산을 위한 공정관리 능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는 단기간에 확보하기 어렵고 오랜 기간의 노하우를 확보한 업체만 보유할 수 있는 기술이라 볼 수 있습니다.
[국민경제적 지위]
<전지박>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미국 Corporate Average Fuel Economy (CAFE) standards, 유럽 Regulation (EU) 2019/631 外) 등 강화된 환경규제로 유럽 및 북미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공격적인 전기차 라인업이 확대됨에 따라 배터리 시장의 선두 주자인 국내 배터리 업체들과의 전략적 협력 관계가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배터리 핵심 소재인 전지박을 공급하는 국내 전지박 업체들 또한 공격적인 Capacity증설을 통해 전기차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동박> 코로나19 여파로 급격히 증가한 개인 전자기기 및 개인 모빌리티 수요에 따라 반도체 등 전자기기의 기반요소 또한 그 수요가 폭증했고,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동박의 성장세가 전세계적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반도체의 성능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정된 공간 내 더 많은 I/O 단자를 구현하고 더 복잡한 회로를 조성하기 위해 국내 기업을 포함한 초극박 생산가능 기업들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및 향후전망
[전지박 사업부]
전지박 산업은 2차전지의 핵심 부품이기 때문에 전방산업인 전기차 및 2차 전지의 수요 및 성장성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산업입니다. 따라서 전방산업인 전기차 및 2차 전지 산업의 전망을 분석하여 전지박 산업의 성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2차 전지 산업에서 가장 핵심인 전기차의 수요는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6년에는 약 1,750만 대 규모로 전기차 시장수요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따른 배터리 수요 역시 용량 기준으로 2026년 1,800 GWh, 2030년에는 3,800 GWh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주행거리 증대 니즈에 따라 전기차 대당 배터리 용량이 늘어나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동박 제품 중 고부가 제품 (5G 장비에 탑재되는 High frequency와 Low loss, 반도체 패키징용 극박 등)은 '22~'26 CAGR 10% 이상의 견조한 성장이 전망되며, 특히 5G용 통신장비, 저궤도 인공위성 등에 적용되는 Low loss, High frequency 제품의 성장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상기 application에 대한 당사 동박사업의 Global M/S는 45% 이상으로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5G 시대의 본격 도래에 따라 신규 고객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에 대비한 다양한 Spec. 의 제품 개발과 사전 고객 승인을 통해 관련 시장에서의 시장 선도적 입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