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비용의 개념과 회계처리!
목차
1. 법인세비용의 정의
2. 법인세비용 관련 법령
3. 법인세비용 회계처리
4. 결론
1. 법인세비용이란?
주식회사와 같은 법인기업의 소득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을 말한다. 기업은 각 사업연도의 순손익을 기준으로 하여 과세소득금액을 계산하고, 이것에 소정의 세율을 곱하여 당기에 부담하여야 할 법인세액을 계산한다. 법인세비용에는 주민세를 포함합니다.
2. 법인세비용 관련법령
1) 기업회계기준
제3장 손익계산서
제35조(손익계산서 작성기준) 손익계산서는 다음 각호에 따라 작성하여야 합니다.
4. 손익계산서는 매출총손익, 영업손익, 경상손익, 법인세비용차감전 순손익과 당기순 손익으로 구분 표시하여야 합니다. 다만, 제조업․판매업 및 건설업 이외의 기업에 있어서는 매출총손익의 구분 표시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2) 세법 제52조(법인세비용)
①법인세비용은 법인세법등의 법령에 의하여 당해 사업연도에 부담할 법인세 및 법인세에 부가되는 세액의 합계에 당기 이연법인세 변동액을 가감하여 산출된 금액을 말한다.
②법인세비용과 법인세법등의 법령에 의하여 당기에 부담하여야 할 금액과의 차이는 이연법인세 차 또는 이연 법인 세대의 과목으로 하고 차기 이후에 발생하는 이연 법인 세대 또는 이연법인세 차와 상계한다.
③이연법인세의 산출근거 및 관련내용을 주석으로 기재한다.
[기업회계기준서 제4호 참조]
2. 위의 내용에도 불구하고 법인세비용은 법인세법등의 법령에 의하여 납부하여야 할 금액으로 합니다. 이 경우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과 법인세비용은 법인세 차감전 순손익과 법인세 등의 계정과목으로 각각 기재합니다.
3. 위와 같이 기업회계기준에 의해 외부감사를 받는 업체는 해당 귀속연도에 법인세비용을 가계산하여 법인세차감전순손익과 법인세차감 후순손익을 계상합니다.
3. 법인세비용 회계처리
1) 납부금액이 있을때
-12월31일
차변 ) 법인세 비용 xxx 대변) 선납법인세 xxx
미지급법인세 xxx
-다음년도 3월31일
차변) 미지급법인세 xxx 대변) 예금 xxx
2) 환급일때
-12월31일
차변 ) 법인세 비용 xxx 대변) 선납법인세 xxx
미수금 xxx
-다음년도 3월31일
차변) 예금 xxx 대변) 미수금 xxx
3. 결론
재무제표에서 보이는 법인세 비용은 회계기준으로 작성한 것이고 실제 법인세 납부액은 세법에 따라 회계기준과 세법을 조정 내역을 기준으로 세금이 계산되기 때문에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간혹. 일부에서 해당 분개를 익년도 법인세 납부할 때 전표처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회계적으로는 귀속연도에 전표처리 해야 하지만 납부할 때 분개를 처도 세무상 문제가 없는 이유는 법인세 비용은 세무조정 시에 손금불산입 하기 때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