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디스플레이 산업의 특성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향후전망
1. 디스플레이 산업의 특성
디스플레이 산업은 패널, 소재, 부품, 설비와 같이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TV,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등 응용 산업의 성장과 기술의 발전 속도가 연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초기 진입 시 대규모 시설 투자가 필요하고 생산성 증대를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와 품질 향상을 통한 원가 절감을 위해 지속적인 설비 투자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와 빠르게 변화되는 생활 방식의 변화로 인해 주력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아지고 있기 때문에 올바른 시장 예측 및 적기에 투자가 집행 되지 않으면 경쟁력을 잃고 투자비용을 회수할 수 없는 고 위험 산업이기도 합니다.
대기업에서 시설 투자를 하고 중소기업으로부터 필요한 소재, 부품 설비를 조달받기 때문에 제조업의 생태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복합산업의 특징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의 경우 디스플레이 제조사들에게 생산 라인 설립 시 공동 투자 방식으로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법인세 인하 및 각종 세제 혜택을 주고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당사에게도 새로운 시장 진출 및 다양한 고객 확보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연구개발을 통한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산업입니다. 디스플레이 제조사는 고품질의 패널을 생산하기 위해 공정기술에 부합하는 설비가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생산 설비에 대한 종속성이 크게 됩니다. 디스플레이 제조사는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을 위해 설비 업체와의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설비 업체는 공정 및 검사 설비에 대한 우월적 지위를 갖게 됩니다. 이는 해당 공정에 대한 신규 설비 업체들에게 보이지 않는 진입 장벽을 형성하게 됩니다.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향후전망
디스플레이 산업은 2000년대 중반부터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시장 주도권을 장악하고 발전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가 시장을 대체하며 성장해 가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 수로 OLED 패널의 점유율이 확대될 것이며 2016년부터 Rigid OLED 패널의 제조 원가가 LTPS LCD 보다 낮아졌습니다. 이는 생산능력 확대와 가동률 상승에 의한 규모의 경제 효과와 주력 생산라인의 감가상각 감소에 따른 고정비 절감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OLED는 유기물질을 활용해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디스플레이를 일컫습니다. LCD에 비해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고가이나, 색상, 높은 명암비, 고속의 응답속도, 광시야각, 낮은 전력소모, 두께 등 많은 점에서 뛰어난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10인치 이하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이후 중국의 화웨이, 샤오미, Oppo, Vivo, 급성장중인 인도의 MicroMax 미국의 애플, 등에서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에 OLED패널을 적용하여 OLED 패널의 저변이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뿐 아니라 중국(중화권)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연간 OLED CAPA는 플렉시블 OLED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은 중소형 패널에 대한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 TV와 Foldable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정체되어 있던 OLED 패널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대형 패널에 대한 투자 계획도 진행 중으로 2025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는 공급자 위주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트렌드가 변하고 있으며 모바일화, 개인화, 멀티미디어 융합화 등 수요자 중심의 감성을 반영하는 제품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중소형 디스플레이는 AMOLED의 기술 개발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대형 디스플레이는 고해상도 제품의 가격 경쟁이 치열합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과 소재, 장비, 공정 분야의 원천 기술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고해상도의 시장 주도 제품, AMOLED의 시장 신규 진입 제품에 대한 경쟁력 확보와 더불어 플렉시블/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제품에 대한 기술 및 공정장비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소재부품 산업 전반의 변화와 성장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포스트 OLED로 마이크로 LED가 개발 중이며 OLED보다 수명·전력효율·대형화·응용성 등 측면에서 앞서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현에도 적합하여 새로운 신규 투자와 시장 확대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은 중소형 패널에 대한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형 패널에 대한 투자 계획도 진행 중으로서 2025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