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 및 토목장비산업 전망 및 향후전망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설산업 및 토목장비산업 전망 및 향후전망

by 새신부 2022. 12. 27.
반응형



목차
1. 건설 및 토목장비 산업의 특성
2. 건설및 토목장비 산업의 성장성
3. 경기변동의 특성



1.  산업의 특성

건설 및 토목용 장비산업은 경제적으로 품목이 광범위하므로 다품종 소량생산이 불가피한 대규모의 시설투자가 요구되는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규모의 경제가 요구되는 산업으로 경제수량 미달에 따른 원가 부담으로 기술개발 투자가 매우 어려운 산업입니다.

또한 전방산업인 토목,건축경기등 건설업에 대한 종속성이 높은 산업이며 가공단계에서 정밀한 기술을 요하고 첨단 기술화 경향 및 일괄 대량생산의 메리트가 큰 특성을 가진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관련산업의 파급효과가 큰 국가기간산업으로 산업전반에 걸쳐 상호 연관되어 있습니다.

기술적 특성으로는 기술집약적 산업이면서 종합 기계기술산업으로 기술개발의 기간이 길고 장기적인 기술투자가 필요한 산업으로 축적된 고급기술이 요구되는 산업으로 선진국의 경우 인간공학적 설계와 메카트로닉스화가 급속히 진전되어 첨단 디지털화되어 가고 있으며 다기능 고효율의 어태치먼트류 개발 가능성이 무궁무진하여 관련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한 산업입니다.

또한 중장비부품 도,소매업은 세계적으로 A/S부품 제조가 복잡 다양하게 생산되어 경쟁이 더욱더 치열하며 요즘 같은 글로벌 경기상황에서는 품질의 우수성보다는 가격차이가 더시장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부품의 도, 소매 또한 일반 부품제조와 함께 성장, 변화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2021년 건설기계 생산 및 출하는 전년대비 27.0% 및 34.7% 증가해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국내시장의 회복은 코로나 19 여파로 주춤했던 시설투자의 재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건설투자가 견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2022년 건설기계 생산 및 출하는 9.90% 및 5.9%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2년 완성차 국내 판매는 금년 고성장에 대한 반작용, 교체 수요 하락등으로 3.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2022년 SOC 예산은 28조 원으로 전년도 본 예산 대비 5.7%가량 증가했으나 코로나, 19의 재확산에 따른 경제침체 우려 확산 및 내년 경제성장률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SOC 예산(30조 원) 편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도 시장 축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1년 건설기계 완성차 해외출하는 전년대비 38.6% 증가하며 2018년 이후 이어지던 감소세에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건설기계 수출의 이같은 호조는 코로나 19 백신 접종 확대로 경기가 살아난 북미와 유렵은 물론, 유가상승 및 원자재가 상승에 따라 중동 및 신흥국에서도 건설기계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미국은 주택 및 인프라 건설을 중심으로 증가하는 건설투자가 건설기계수요를 견인하며 중대형금을 중심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고 국제 유가 및 원자재가격이 동반 상승하여 신흥국 시장 역시 견고한 회복세를 시현한 모습입니다.

국내 주력시장인 중국시장에서 국내브랜드는 판매가 전년대비 감소했습니다. 중국정부가 경기부양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시행한 건설공사 규제가 맞물리면서 굴착기 판매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건설기계, 자동차부품산업등 당사의 주요 산업은 SOC 예산, 건설투자정책변화,건설산업 연계 정책기조변화 건설경기와 소비자 패턴변화등 자동차 수요 경기를 비롯 전방산업의 수요 변동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사업 분야로서 국내경기 상황,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정책과 해외 경제동향 등에 따라 수요가 좌우되며, 또한 환율변동에 의하여 국가별 가격 경쟁력이 결정되므로 최대 소비 시장인 미국 및 유럽 등의 환율 추세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특성을 띠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